맨위로가기

교황 바오로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바오로 6세는 189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963년부터 1978년까지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으로 재임했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단행했으며, 세계주교대의원회의를 설립하고 교황청을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또한, '순례자 교황'으로 불리며 6대륙을 방문하여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다. 하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개혁 과정에서 보수와 진보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인간 생명' 발표 이후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2018년 시성되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바오로 6세 - 교황 요한 23세
    교황 요한 23세는 소작농 출신으로 비가톨릭 국가 교황 사절, 유대인 난민 보호 활동을 하다가 1958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가톨릭교회 현대화를 위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 사후 성인이 되었다.
  • 교황 바오로 6세 - 바오로 6세 미사
    바오로 6세 미사는 교황 바오로 6세가 반포한 로마 미사 경본에 따른 로마 전례 미사의 통상 양식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따라 전례를 쇄신하여 각국 언어 사용과 새로운 감사 기도문 도입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전례 유효성 논쟁과 미사 경본 번역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했다.
  • 교황 프란치스코가 시성한 성인 - 존 헨리 뉴먼
    존 헨리 뉴먼은 19세기에 활동하며 옥스퍼드 운동을 이끌고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추기경이 되었으며, 종교, 교육, 철학 분야에 기여하고 1991년 존경받는 인물로, 2019년 시성되었다.
  • 교황 프란치스코가 시성한 성인 - 교황 요한 23세
    교황 요한 23세는 소작농 출신으로 비가톨릭 국가 교황 사절, 유대인 난민 보호 활동을 하다가 1958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가톨릭교회 현대화를 위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 사후 성인이 되었다.
  • 20세기 교황 - 교황 베네딕토 15세
    자코모 델라 키에사라는 본명을 가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평화 중재 노력을 펼쳤으나 실패하였고, 전후 인도주의 활동, 외교 관계 수립, 교회법 개정, 선교 활동 강조 등 교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 20세기 교황 - 교황 비오 11세
    교황 비오 11세는 1922년부터 1939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라테라노 조약 체결을 통해 바티칸 시국 독립을 이끌고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교황 바오로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교황 정보
공식 초상화, 1969년
존칭교황 성
이름바오로 6세
직함로마 교구장
문장C o a Paulus VI.svg
좌우명
교회가톨릭교회
재임 시작1963년 6월 21일
재임 종료1978년 8월 6일
이전 교황요한 23세
다음 교황요한 바오로 1세
성품성사
서품1920년 5월 29일
서품자자친토 가기아
주교 서임1954년 12월 12일
주교 서임자외젠 티세랑
추기경 서임1958년 12월 15일
추기경 서임자요한 23세
개인 정보
본명조반니 바티스타 엔리코 안토니오 마리아 몬티니
출생일1897년 9월 26일
출생지콘체시오, 브레시아, 이탈리아 왕국
사망일1978년 8월 6일
사망지카스텔 간돌포, 이탈리아
다른 이름바오로
서명Signature paolo vi.svg
이전 직책사도좌 서명원 감사원장 (1926–1938)
국무원 일반 업무 담당 대리 (1937–1953)
국무원 일반 업무 담당 차관보 (1953–1954)
밀라노 대교구장 (1954–1963)
산티 실베스트로 에 마르티노 아이 몬티 추기경 사제 (1958–1963)
성인
공경가톨릭교회
팔마르 교회
축일5월 29일
5월 30일 (암브로시오 전례)
시복일2014년 10월 19일
시복 장소성 베드로 광장, 바티칸 시국
시복자프란치스코
시성일2018년 10월 14일
시성 장소성 베드로 광장, 바티칸 시국
시성자프란치스코
상징교황 예복
교황 삼중관
팔리움
수호밀라노 대교구
바오로 6세 교황청 연구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브레시아 교구
콘체시오
마젠타
파데르노 두냐노
교육
학교밀라노 대학교 (JCD)
성직 수여 정보
부제 서품일1920년 2월 28일
부제 서품지콘체시오, 브레시아
사제 서품자자친토 가기아 (브레시아)
사제 서품일1920년 5월 29일
사제 서품지콘체시오, 브레시아
주교 서임자외젠 티세랑 (추기경단 단장)
공동 주교 서임자자친토 트레디치 (브레시아)
도메니코 베르나레기 (밀라노 보좌)
주교 서임일1954년 12월 12일
주교 서임지성 베드로 대성당, 바티칸 시국
추기경 임명자요한 23세
추기경 임명일1958년 12월 15일
주교 1주세페 스키아비니
주교 서임일 11955년 5월 22일
주교 2체사리오 알레산드르 미날리
주교 서임일 21955년 6월 5일
주교 3우발도 테오파노 스텔라
주교 서임일 31955년 10월 3일
주교 4도메니코 엔리치
주교 서임일 41955년 11월 1일
주교 5아리스티데 피로바노
주교 서임일 51955년 11월 13일
주교 6아돌포 루이스 보시
주교 서임일 61958년 9월 14일
주교 7안토니오 푸스텔라
주교 서임일 71960년 6월 25일
주교 8조반니 움베르토 콜롬보
주교 서임일 81960년 12월 7일
주교 9루이지 올다니
주교 서임일 91961년 12월 7일
주교 10프란체스코 로시
주교 서임일 101963년 5월 26일
주교 11이히노 에우제니오 카르디날레
주교 서임일 111963년 10월 20일
주교 12앨버트 루벤 에드워드 토마스
주교 서임일 121963년 10월 20일
주교 13조반니 팔라니
주교 서임일 131964년 6월 28일
주교 14요하네스 제라르두스 마리아 빌레브란츠
주교 서임일 141964년 6월 28일
주교 15레오바르드 드수자
주교 서임일 151964년 12월 3일
주교 16페르디난도 주세페 안토넬리
주교 서임일 161966년 3월 19일
주교 17자코모 비올라르도
주교 서임일 171966년 3월 19일
주교 18로리스 프란체스코 카포빌라
주교 서임일 181967년 7월 16일
주교 19아고스티노 카사롤리
주교 서임일 191967년 7월 16일
주교 20에르네스토 치바르디
주교 서임일 201967년 7월 16일
주교 21폴 카시미르 마르친쿠스
주교 서임일 211969년 1월 6일
주교 22루이 반제케
주교 서임일 221970년 12월 3일
주교 23안니발레 부니니
주교 서임일 231972년 2월 13일
주교 24주세페 카소리아
주교 서임일 241972년 2월 13일
주교 25엔리코 바르톨루치 파나로니
주교 서임일 251973년 6월 29일
주교 26장 제롬 하메르
주교 서임일 261973년 6월 29일
주교 27안제이 마리아 데스쿠르
주교 서임일 271974년 6월 30일
주교 28니콜라 로툰노
주교 서임일 281974년 6월 30일

2. 생애 초기

조반니 바티스타 엔리코 안토니오 마리아 몬티니는 1897년 9월 26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 브레시아현 콘체시오 마을에서 태어났다.[12] 1897년 9월 30일, 조반니 바티스타 엔리코 안토니오 마리아 몬티니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12]

1920년 사제 서품을 받은 날의 몬티니


그의 아버지 조르조 몬티니(1860~1943)는 변호사, 언론인이자 가톨릭 액션 책임자였으며, 이탈리아 의회 의원이었다. 어머니 주데타 알기시(1874~1943)는 시골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12] 몬티니에게는 프란체스코 몬티니(1900~1971, 의사가 됨)와 로도비코 몬티니(1896~1990, 변호사이자 정치인이 됨)라는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

몬티니는 예수회가 운영하는 체사레 아리치 학교에 다녔고, 1916년 브레시아의 아르날도 다 브레시아 공립학교에서 졸업장을 받았다. 그의 교육은 잦은 병으로 인해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 1916년, 몬티니는 가톨릭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입학했다. 1920년 5월 29일 브레시아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브레시아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에서 첫 미사를 집전했다.[12] 몬티니는 같은 해 밀라노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나중에 그레고리오 대학교,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그리고 교황청 교회법원에서 공부했다. 1922년, 25세의 나이에 국무원에 들어가 프란체스코 보르고니니-두카,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카를로 그라노, 도메니코 타르디니, 프랜시스 스펠먼과 함께 일했다.[13]

3. 바티칸에서의 경력

조반니 바티스타 몬티니는 1922년 국무원에 들어가 주세페 피차르도의 아래에서 프란체스코 보르고니니-두카,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카를로 그라노, 도메니코 타르디니, 프랜시스 스펠먼과 함께 일했다.[12] 그는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밀라노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레고리오 대학교,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교황청 교회법원에서 공부했다. 몬티니는 국무원에서 일하면서 본당 신부로 임명된 적은 없었다.[12] 1925년에는 브레시아의 출판사 모르첼리아나(Morcelliana) 설립을 도왔다.[13]

3. 1. 교황 대사

1923년 몬티니는 폴란드 주재 교황 대사로 파견되었다.[14] 당시 폴란드는 극우 성향의 국가주의가 확산되면서 외국인을 적으로 취급하는 분위기가 만연했다.[15] 특히 국경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심했으며, 이웃 나라를 정복해야 한다는 인식도 팽배했다.[16] 몬티니는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로마로 소환되었다.[17] 그는 훗날 폴란드에서의 경험을 회고하며 "내 생애의 한 부분으로서, 유용하긴 했지만 단 한 순간도 즐거운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18] 몬티니는 폴란드에서의 경험을 통해 민족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평화의 중요성을 깨달았다.[19] 훗날 교황이 된 후, 몬티니는 폴란드의 성모 순례지를 방문하고자 했으나, 공산주의 정부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20]

3. 2. 학생들과 정치

몬티니는 1925년 가톨릭 학생 단체인 'Federazione degli Universitari Cattolici Italiani(FUCI)' 담당 사제가 되었다.[14] 당시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부는 파시스트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과 단체를 금지했기 때문에, FUCI는 이탈리아 대학 내 유일한 비파시스트 관련 종교 단체였다.[14] 교황청 국무원 직원이기도 했던 몬티니는 FUCI 문제에 깊이 관여했다. 바티칸은 베니토 무솔리니라테라노 조약을 맺어 교황의 유폐 생활을 종식시켰다.[14]

몬티니는 신학 강의를 통해 정치적 계략을 피했다.[14] 파시스트 언론은 몬티니를 공격했고, 이에 맞서 바티칸의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930년 1월 27일에 몬티니를 옹호했다.[14]

3. 3. 비오 12세

몬티니는 교황 비오 12세의 개인 비서로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전쟁 포로와 난민들을 위한 정보 기관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몬티니는 매일 아침 교황청 국무원에 출근해서 오전 시간 내내 근무하고, 오후에는 교황의 개인 비서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았다. 비오 12세는 자신의 일부 전임자들의 전례를 따라 자신의 비서실 기능을 국무성성에 전적으로 위임하였다. 전쟁 기간 내내, 세계 각지에서 비오 12세 앞으로 그에게 기도와 도움 등을 요청하는 수천 통의 편지가 도착하였다. 몬티니는 이들에게 비오 12세의 이름으로 답신을 작성해 보내는 과업을 맡았는데, 가능하면 최대한 교황이 충분히 공감하고 있고 이해하고 있으며 도움을 제공하겠다는 내용을 나타내도록 하였다.[20]

비오 12세의 지시에 따라 몬티니는 1939년부터 1947년까지 전쟁 포로와 난민들을 위한 정보 기관을 설립하였으며, 실종자에 대한 정보 요청을 세계 각지로부터 거의 1천만 건 가까이 받았으며, 그에 대한 답변을 1천 1백만 건 이상 제공하였다.[20] 한편, 몬티니는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에 의해 요주의 인물로 낙인찍혀 여러 차례 공공연하게 정치적 공격을 받았지만, 그때마다 매번 바티칸의 강력한 보호를 받았다.[20] 또한 몬티니는 비오 12세의 지시에 따라 유다인과 반파시스트 운동가 및 사회주의자 및 동맹군의 포로 수용소에서 탈출한 수백 명의 연합군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성당 및 수도원을 이들의 보호 시설로 제공해 주었다.[21]

4. 밀라노 대교구장

1959년의 조반니 바티스타 몬티니 추기경; 툴리오 파라볼라 촬영


1954년 밀라노 대교구장 알프레도 일데폰소 슈스테르 추기경이 선종하자 몬티니 몬시뇰이 후임자로 지명되어 대주교로 서품되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교구인 밀라노 대교구의 교구장 몬티니 대주교는 자연스럽게 이탈리아 주교회의 의장직을 겸하게 되었다. 비오 12세는 몬티니 대주교를 밀라노 대교구장에 임명한 것을 “밀라노에게 주는 자신의 개인적 선물”이라고 표현했다.[12] 1955년 1월 6일, 몬티니는 정식으로 밀라노 대성당의 소유권을 양도받았다.

몬티니 대주교는 노동 조건과 노동 문제에 관심을 보이며, 많은 노동 조합 및 협회와 대화했다. 그는 현대 사회에서 영적인 휴식을 위한 장소로서 교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00개가 넘는 새로운 교회 건립을 시작했다.[13]

밀라노 등지에서 그의 공개 연설은 주목을 받았다. 그는 평신도들에게 가톨릭 신자뿐 아니라 분리주의자, 프로테스탄트, 성공회 신자, 무관심한 사람들, 무슬림, 이교도, 무신론자까지 사랑하도록 촉구하여 자유주의자로 여겨지기도 했다.[13] 1957년 밀라노를 방문한 성공회 성직자 그룹을 친절하게 환영했고, 이후 캔터베리 대주교 제프리 피셔와 서신을 교환했다.[13]

몬티니는 목회 활동을 통해 신자들에게 다가가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했고, 지역 차원에서 비오 12세의 전례 개혁을 시행했다. 1957년 11월 10일부터 24일까지 밀라노 전역에 "1,000명의 목소리가 시민들에게 전달될 것"이라는 내용의 거대한 포스터가 게시되었다. 500명이 넘는 사제들과 많은 주교, 추기경, 평신도들이 교회뿐만 아니라 공장, 회의장, 가정, 학교, 사무실, 군영, 병원, 호텔 등 사람들이 모이는 모든 곳에서 7,000회가 넘는 설교를 했다.[13] 그의 목표는 종교심이 부족한 도시에 신앙을 다시 심어주는 것이었다. 그는 "만약 우리가 주기도문을 바르게 말하고 그 의미를 안다면, 우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해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3]

4. 1. 추기경

요한 23세는 1958년 12월 15일 몬티니를 추기경에 서임하면서 산 마르티노 아이 몬티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임명하였다.[29] 추기경이 된 몬티니는 교황청 상층부로 진입하였으며, 1962년에는 아프리카를 방문하여 가나, 수단, 케냐, 콩고 민주 공화국, 로디지아, 남아프리카, 나이지리아를 방문하였다.[29]

1962년 밀라노에서 열린 RAS 신사옥 개관식에 참석한 몬티니 추기경; 파올로 몬티(Paolo Monti) 촬영


이후에도 몬티니 추기경은 여러 차례 해외를 방문하였는데, 1960년에는 브라질미국을 방문하여 뉴욕, 워싱턴 D.C., 시카고, 노터데임 대학교, 보스턴,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등을 찾았다.[29]

5. 교황

조반니 바티스타 엔리코 안토니오 마리아 몬티니는 1897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브레시아콘체시오에서 태어났다.[12] 아버지 조르조 몬티니는 변호사이자 언론인, 가톨릭 액션 책임자였고, 어머니 지우데타 알기시는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12] 몬티니는 1916년 신학교에 입학하여 1920년 사제 서품을 받고 브레시아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에서 첫 미사를 집전했다.[13] 이후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고 교황청 국무원에서 프란체스코 보르고니니-두카,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등 주요 인물들과 함께 일했다.[13]

몬티니는 교황 비오 12세교황 요한 23세 모두와 가까웠으며, 1963년 콘클라베에서 6차 투표 끝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71] 그는 사도 바오로를 기리기 위해 "바오로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30]

1963년 6월 21일 교황으로 선출된 후 중앙 로지아에 모습을 드러낸 바오로 6세


바오로 6세는 교황직의 제왕적 요소들을 멀리하였고, 교황관을 쓴 마지막 교황이 되었다. 그는 미국 워싱턴 D.C.의 원죄 없으신 잉태 성당에 교황관을 기증하였다.[36] 또한 교황 권고 「폰티피칼리스 도무스」를 통해 교황 귀족의 의례 기능 대부분을 중단했고, 팔라티누스 근위대와 귀족 근위대를 폐지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개막식


바오로 6세는 요한 23세가 시작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재개하여 1965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그는 교회 쇄신이라는 목표를 향해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400년간 이어져 온 교회 전례 양식의 대폭적인 개정 등 많은 개혁을 단행하였다.

바오로 6세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회일치운동의 돌파구를 마련한 오귀스탱 베아 추기경을 전적으로 지지했다.[23] 1965년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설립을 승인하였고, 교황청 개혁, 교황 선출 방식 혁신, 전례 개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하였다.

5. 1. 교황 선출



몬티니는 교황 비오 12세교황 요한 23세 모두와 가까웠고, 목회 및 행정적 배경, 통찰력, 결단력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아 가장 유력한 교황 후계자로 여겨졌다.[171] 요한 23세는 베네치아 주교로 임명되기 전까지 바티칸에서 공직자로 일했지만, 66세에 로마로 돌아와 로마 교황청을 다루는 데 불확실성을 느끼기도 했다. 반면 몬티니는 한 세대 동안 바티칸에서 일하면서 내부 운영 방식을 익혔다.[171]

자코모 레르카로(볼로냐)와 주세페 시리(제노바)와는 달리, 몬티니는 좌파나 우파, 급진적인 개혁가로 분류되지 않았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계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물로 여겨졌다.[171] 당시 공의회는 별다른 결과 없이 폐회된 상태였다.

1963년 콘클라베에서 몬티니는 6차 투표 끝에 6월 21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추기경단의 수석 추기경인 외젠 티세랑이 선출을 수락할 것인지 묻자, 몬티니는 "''Accepto, in nomine Domini''"("주님의 이름으로 수락합니다")라고 답했다. 그는 사도 바오로를 기리기 위해 "바오로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30]

6월 20일 선거 과정에서 구스타보 테스타 추기경이 격분하여 몬티니 반대파에게 그의 선출을 막으려는 노력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고 전해진다.[31]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서 흰 연기가 처음으로 솟아오른 것은 오전 11시 22분이었고, 원로 부제 추기경 알프레도 오타비아니가 몬티니의 당선을 대중에게 발표했다. 새 교황은 중앙 로지아에 나타나 긴 전통적인 ''우르비 에트 오르비'' 대신 짧은 주교의 축복을 첫 번째 사도적 축복으로 내렸다.

5. 2. 교황 예식 개혁

바오로 6세는 교황직의 제왕적이고 호화로운 요소들을 멀리하였다. 후임자인 요한 바오로 1세가 교황관을 거부함으로써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쓴 마지막 교황이 되었다. 바오로 6세는 밀라노 대교구가 자신에게 기증한 교황관을 미국인 신자들에게 선물로 보내는 형식으로 미국 워싱턴 D.C.의 원죄 없으신 잉태 성당에 기부하였다. 성당 측은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을 지하실에 현재까지 영구 전시하고 있다.[36]

1968년, 교황 권고 「폰티피칼리스 도무스」를 통해 그는 옛 교황 귀족의 의례 기능 대부분을 (가정으로 재편) 중단했고, 교황 좌측 보좌관을 제외한 모든 귀족들을 제외했다. 그는 또한 팔라티누스 근위대와 귀족 근위대를 폐지하고 교황 스위스 근위대를 바티칸의 유일한 군사 기관으로 남겼다.

5.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바오로 6세는 선임자 요한 23세가 선종하면서 중단되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재개하여(교회법상 교황 선종 시 공의회는 자동 중지), 1965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립되는 이해와 논란 속에서도 바오로 6세는 교회 쇄신이라는 목표를 향해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400년간 이어져 온 교회 전례 양식의 대폭적인 개정 등 많은 개혁을 단행하였다.

1964년 9월 14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3회기를 개최한 바오로 6세는 공의회 교부들에게 공의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헌은 교회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교황과 주교들의 관계와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자, 바오로 6세는 교황의 수위권을 재확인하는 교회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을 발표하였다. 미국의 주교들은 종교의 자유 문제를 조속히 결의해야 한다고 촉구했으나, 바오로 6세는 종교의 자유 문제는 교회 일치 운동과 같은 부류의 문헌과 함께 승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의회는 1965년 12월 8일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에 폐막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3회기와 제4회기 사이에 바오로 6세는 로마 교황청 기구 개편, 교회법 개정, 가톨릭 신자와 다른 종교 신자의 혼인 규정, 산아 제한에 대한 입장 표명 등 여러 굵직한 현안들을 능숙하게 처리하였다.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에큐메니즘(교회일치운동)의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인정받는 아우구스티누스 비아 추기경을 전적으로 지지했다.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재소집하여 1965년에 완료했다. 상반되는 해석과 논쟁에 직면하여 그는 개혁 목표의 이행을 지시했다.

5. 4. 교회 개혁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재소집하여 1965년에 완료한 바오로 6세는 공의회의 개혁 목표 이행을 지시했다. 그는 공의회에서 교회일치운동의 돌파구를 마련한 오귀스탱 베아 추기경을 전적으로 지지했다.[23] 베아 추기경은 공의회 언어가 개신교와 정교회의 감정을 고려하여 우호적이고 개방적인지 확인했으며, 요한 23세의 요청으로 모든 회의에 개신교와 정교회 대표들을 초청했다. 또한 교회와 유대교 및 다른 종교 신자들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노스트라 아에타테''(Nostra aetate)의 통과에도 크게 기여했다.[23]

바오로 6세는 공의회를 완수하고 그 이념에 기반한 교회 개혁을 실시하는 데 힘썼으며, 그의 재임 시기에 최초로 세계주교대의원회의가 개최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1968년에 발표한 회칙 「인간 생명」(Humanae Vitae)은 가톨릭교회가 인공적인 산아제한을 부정했기 때문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5. 4. 1. 세계주교대의원회의

1965년 9월 14일 바오로 6세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설립을 승인하였다. 세계주교대의원회의는 교회 상설기구 겸 교황의 자문기구로서, 교황과 주교들 사이의 밀접한 연합을 촉진하고 신앙과 도덕의 옹호와 발전 및 교회의 규율 준수와 강화를 위해 교황에게 자문으로 보필하며, 더불어 세상에서의 교회 행동에 관한 문제들을 숙고하기 위해 세계의 각 지역교회에서 선발된 주교들이 정해진 시기에 함께 모이는 회합이다.[23] 바오로 6세 재위기간 동안 특정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세계주교대의원회의가 몇 차례 개최되었는데, 1974년 9월 9일에 개최된 현대 사회에서의 선교 활동에 관한 회의가 그 예이다.

5. 4. 2. 교황청 개혁

바오로 6세는 1922년부터 1954년까지 교황청에서 일해왔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교황청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개혁을 한꺼번에 단행하기보다는 단계적으로 실행에 옮겼다. 1968년 3월 1일, 그는 비오 12세가 착수하여 요한 23세까지 진행해 왔던 새로운 규정인 《교황궁 규정 변경》(Pontificalis Domus)을 공포하였으며, 3월 28일과 그 다음 해까지 이어지는 추가적인 사도적 서한을 통해 교황청 관료 수를 줄이고, 기존 교황청 기구를 간소화했으며, 교황청 내 여러 직책에 비(非)이탈리아인을 대거 등용했다.[23] 이를 통해 바오로 6세는 교황청 전체를 대대적으로 혁신하였다.

5. 4. 3. 교황 선출

바오로 6세는 80세 미만 추기경에게만 교황 선출 자격을 부여하도록 지시하여 교황 선출 방식을 혁신하였다. 1966년 8월 6일 자의교서 《거룩한 교회》(Ecclesiae Sanctae)를 발표하여, 교구의 모든 주교와 법률상 그들과 동등한 이들은 75세가 되면 자신의 자유의사에 따라 교황 등 관할 권위에 사의를 표명하도록 권고하였다.[172] 이 권고는 곧 모든 추기경에게 확대되어, 교황은 고령으로 은퇴한 주교 및 추기경 자리를 젊은이들로 교체하고 로마 교황청의 혁신을 도모하였다.

5. 4. 4. 전례 개혁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바오로 6세는 로마 미사 경본에 대한 전반적인 개정 작업을 지시하였다. 1969년 4월 바오로 6세는 새 미사 통상문을 승인하였는데(1970년에 반포), 여기에는 미사 중에 종래처럼 라틴어만 고수하는 것이 아닌 모국어도 사용해도 좋다는 승인과 더불어 주례 사제가 제대를 사이에 두고 회중을 마주보며 전례를 거행하는 것도 허용한 점, 제대와 감실의 분리, 성찬 제정 및 축성문 후에 기념환호를 도입하는 것, 복음서 낭독 전에 있는 두 개의 독서 중 한 가지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평신도들에게 부여한 것, 봉헌을 위해 평신도들이 빵과 포도주를 들고 사제에게 건네는 것 등 상당히 많은 개정과 변화가 있었다.[34] 이후로도 바오로 6세는 1964년, 1967년, 1969년 그리고 1970년에도 가톨릭교회의 모든 전례 양식을 개혁하는 데 중점을 둔 지침들을 반포하였다.

1963년에 촬영된 바오로 6세의 공식 사진

6. 사목 방문

바오로 6세는 6개 대륙을 방문한 최초의 교황이자, 그 당시 역사상 가장 장시간 여행한 교황으로, '순례자 교황'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57] 그는 1964년 성지를 방문했고, 인도 봄베이와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성체 대회에 참석했다. 1967년에는 포르투갈파티마 성모 성지에서 발현 50주년을 맞아 방문했다. 1969년에는 우간다를 사목 방문했는데,[53] 이는 재위 중인 교황으로서는 아프리카를 처음 방문한 것이었다.[54] 1965년 10월에는 뉴욕 유엔에서 연설하면서 서반구를 방문한 최초의 교황이 되었다.[59]

1970년 11월 27일,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 도착한 직후 교황 바오로 6세는 암살 시도를 당했으나, 다행히 미수에 그쳤다.[61]

김수환 추기경은 바오로 6세에게 대한민국 방문을 요청했으나, 바오로 6세는 "마음은 간절하지만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며 아쉬워했고, 결국 방한은 성사되지 못했다.

7. 교회 일치 운동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하여 다른 기독교 종파 지도자들을 '갈라진 형제'라고 부르며 교회 일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9세기 이래 처음으로 동방 교회를 방문한 교황이자, 수 세기 만에 처음으로 동방 정교회 지도자들과 만난 교황이었다. 특히 1964년 예루살렘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와 만나 1054년의 상호 파문을 취소하는 공동선언을 발표하여,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간의 친교 회복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85]

예루살렘에서 만남을 가진 교황 바오로 6세와 아테나고라스 1세 총대주교를 묘사한 석상.


바오로 6세는 영국 성공회의 지도자인 캔터베리 대주교와 공적으로 만난 최초의 교황이기도 하다.[175] 그는 캔터베리 대주교 마이클 램지와 만나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 간의 상호 이해를 위한 대화를 시작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성공회가 여성을 성직자로 서품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하였다.[156]

1965년에는 세계 교회 협의회와 협력하여 대화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고, 1968년에는 그리스도인 일치 주간을 제정하여 공동 기도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8. 말년과 죽음

1978년 3월 16일, 기독교 민주당 정치인이자 바오로 6세의 절친한 친구였던 알도 모로붉은 여단에 납치되어 55일 동안 감금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오로 6세는 붉은 여단에게 모로를 풀어줄 것을 요청하는 서신을 직접 써서 보냈지만, 이탈리아 정부는 교황이 붉은 여단에 대해 너무 저자세로 나갔다며 불만을 터뜨렸다.[113] 교황은 모로의 몸값을 지불하는 방향을 모색하였지만, 5월 9일 알도 모로는 로마의 한 자동차 안에서 총을 맞은 채 시신으로 발견되었다.[114]

교황 바오로 6세의 무덤


이후 바오로 6세는 1978년 7월 14일에 카스텔간돌포에 있는 교황의 여름 별궁에 갔다.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였지만, 이탈리아의 새 대통령 산드로 페르티니와 두 시간 동안 만났다. 그는 곧 호흡에 문제가 생겨 산소를 요청하였다. 다음날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 날, 삼종기도를 하려 했으나, 체온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침실에 누웠다.

1978년 8월 6일 밤 9시 40분, 바오로 6세는 카스텔간돌포에서 심근경색으로 선종하였다.
바오로 6세 서거 후 바티칸에 안치된 모습
그의 시신은 카스텔간돌포에서 2일간 7만여 명의 참배를 받은 뒤, 성 베드로 광장에서 장례 미사가 거행되었으며,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에 안장되었다.[126]

9. 시복과 시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93년 바오로 6세의 시복 절차를 시작하도록 지시했으며, 그해 5월 11일에 바오로 6세를 하느님의 종으로 선언하였다. 2012년 12월 20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바오로 6세의 영웅적 덕행을 인정하여 가경자로 선언하였다.[176]

2014년 5월 9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바오로 6세의 전구에 의한 기적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 2014년 10월 19일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3차 임시 총회 폐막 미사에서 바오로 6세의 시복식을 거행하여, 그를 복자로 공식 선언하였다.[181]

2018년 2월 21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그해 안에 교황 바오로 6세가 성인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82] 2018년 3월 6일, 교황은 치유를 기적으로 확인하여 바오로 6세의 시성을 승인했고, 2018년 10월 14일에 오스카 로메로와 함께 성인으로 선포되었다.[145]

바오로 6세의 전례 축일은 그의 사제 서품일인 5월 29일이다.[2]

10. 유산과 논란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을 계승하고 교회의 현대화를 이끈 교황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제시된 로마 미사 경본(Roman Missal)의 전반적인 개정을 위한 지시 사항[48]에 따라, 1969년에 공의회 이후 첫 번째 판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기존 로마 전례문(Roman Canon)에 세 개의 새로운 성찬 기도문(Eucharistic Prayer)을 추가했다.[49] 또한, 주교회의(episcopal conference)의 결정에 따라 구어(vernacular) 사용을 확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례 개혁은 만장일치로 환영받지 못했다. 마르셀 르페브르(Marcel Lefebvre)와 같이 1962년 로마 미사 경본에 애착을 가진 이들은 공개적으로 반발했다.[50] 요한 바오로 2세(Pope John Paul II)는 주교들에게 1962년 미사 경본의 사용을 허가했고,[51] 베네딕토 16세(Pope Benedict XVI)는 1962년 미사 경본과 바티칸 2세 이후 미사 경본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52] 그러나 2021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1962년 로마 미사 경본의 사용을 제한했다.[52]

1976년, 바오로 6세는 동성애 관련 주장을 부인했다.[101] 로제 페르피트는 바오로 6세가 배우 파올로 칼리니[106]와 오랫동안 성관계를 맺은 위선자라고 주장했지만,[103][104][105] 바오로 6세는 이를 "끔찍하고 중상적인 모함"이라고 반박하며, 모든 이탈리아 가톨릭 교회에서 특별 기도를 요청했다.[104][106] 이후에도 이러한 주장은 반복되었고,[107] 바오로 6세가 협박을 받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08][109]

바오로 6세는 비오 12세 시대부터 시작된 교회의 개방과 국제화를 추진하고, 요한 23세의 개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정을 이행했다.[147] 그는 베트남 전쟁 중 평화를 호소했다.[147] 그러나 기본적인 교회 교리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취했으며, '''인간 생명'''(Humanae Vitae)을 통해 이를 재확인했다.[148]

바오로 6세는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침묵했다는 비판을 받은 비오 12세를 존경했다.[148] 그는 비오 12세와 요한 23세의 미완성된 개혁 작업을 겸손하고 성실하게 마무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48]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바오로 6세 동상


바오로 6세는 독일 연방 공화국 공훈 훈장 대십자 1등급을 받았다.


바오로 6세는 반대자들을 파문하지 않고,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존중했다. 그러나 새로운 신학적 자유는 신자들 사이에서 의견의 다양성과 불확실성을 초래했다. 전례의 재방향 설정, 미사 통상문의 변경, 전례력 변경, 감실의 재배치 등은 일부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바오로 6세 재위 기간 동안 가톨릭 신자 수는 증가했지만, 사제 수는 감소했다. 미국에서는 신학생 수와 수녀, 형제 수가 급격히 감소했고, 유아 세례와 성인 개종자 수도 감소했다. 반면, 혼인 무효 선언은 크게 증가했다.[149]

바오로 6세는 교황직과 가톨릭 교회의 많은 전통적인 상징들을 버리고, 스위스 근위대를 제외한 바티칸 군대를 해산했다. 그는 5개 대륙을 방문한 최초의 교황이 되었으며,[150] 세계의 주교들에게 로마 교황청을 개방하여 교회를 세계 교회로 만들었다.

일부 사람들은 바오로 6세의 결정을 비판했다. 새로 설립된 주교 공의회는 자문 역할만 맡았고,[151] 그의 동방 정책과 공산주의와의 접촉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152]

바오로 6세는 '''인간 생명'''에 대한 교회 내 반응으로 고통받았다. 대부분의 지역과 주교들은 교황을 지지했지만,[153] 일부 교회는 공개적으로 반대했다.[15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의 바오로 6세


바오로 6세는 공의회를 완수하고 그 이념에 기반한 교회 개혁을 실시하는 데 힘썼다. 또한 바오로 6세 재임 시기에 최초로 시노드(주교 시노드)가 개최되었고, 이는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1968년에 발표한 회칙 「인간 생명」(Humanae Vitae)은 가톨릭교회가 인공적인 산아제한을 부정했기 때문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ew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2021-11-08
[2] 웹사이트 Decreto della Congregazione del Culto Divino e la Disciplina dei Sacramenti sull'iscrizione della celebrazione di San Paolo VI, Papa, nel calendario Romano Generale http://press.vatican[...] Holy See 2019-02-06
[3] 웹사이트 Memory of Blessd Paul VI https://web.archive.[...] Archdiocese of Milan 2015-05-15
[4] 웹사이트 In the Diocese of Milan. A pastoral community dedicated to Paul VI (in Italian) http://www.microsoft[...] 2014-10-01
[5] 웹사이트 About Paul VI, Patron of the Institute http://archstl.org/p[...] Archdiocese of St. Louis
[6] 웹사이트 Paul VI Blessed! (in Italian) http://www.microsoft[...] Diocese of Brescia 2014
[7] 웹사이트 Letter to the diocese for calling a "Montinian Year" (in Italian) https://web.archive.[...] Diocese of Brescia 2014
[8] 웹사이트 CAPOVILLA, Loris Francesco (1915–)| https://archive.toda[...]
[9] 잡지 The Pilgrimage of Pope Paul the Sixth https://books.google[...] 1964-01-17
[10] 서적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 Vol II: 1986–2007 Ignatius Press 2009-08-21
[11] 웹사이트 'It's not Easy Being a Christian', says Pope http://storico.radio[...] Vatican Radio 2009-08-11
[12] 웹사이트 Giovanni Battista Enrico Antonio Maria Montini, aka Pope Paul VI https://www.familyse[...]
[13]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eb.archive.[...] Morcelliana
[14] 논문 MAGGIORDOMATO DI SUA SANTITÀ https://www.vatican.[...] 1925-11-05
[15] 논문 SEGRETARIA DI STATO https://www.vatican.[...] 1931-08-05
[16] 논문 SEGRETARIA DI STATO https://www.vatican.[...] 1936-11-25
[17] 논문 SEGRETARIA DI STATO https://www.vatican.[...] 1937-12-23
[18] 논문 SEGRETARIA DI STATO https://www.vatican.[...] 1938-01-31
[19] 논문 SEGRETARIA DI STATO https://www.vatican.[...] 1938-07-15
[20] 서적 Actes et Documents
[21] 서적 The Pope wants ... Berti
[2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ww.caritas.i[...]
[23] 문서 Harvnb
[24] 문서 Discorsi e Radiomessagi di Sua Santita
[25] 웹사이트 Pope Paul VI: 1963–1978 Vatican
[26] 웹사이트 Saul Alinsky e "San" Paolo VI: genesi della resa conciliare al mondo (seconda parte) – di Christopher A. Ferrara (traduzione di Marco Manfredini) – Ricognizioni https://www.ricogniz[...] 2018-11-22
[27] 웹사이트 The radical vision of Saul Alinsky https://www.si.edu/o[...]
[28] 서적 Borla
[29] 서적 L'Osservatore Romano 1958-11-17
[30] 뉴스 POPE AND PROPHET: The beatification of Paul VI Ceremony brings new appreciation of a pontiff who was much maligned after Vatican II, Humanae Vitae https://web.archive.[...] Our Sunday Visitor 2014-10-08
[31] 뉴스 Conclaves: Surprises abound in the Sistine Chapel http://www.madisonca[...] 2005-04-21
[32] 뉴스 Pope Hamlet: Paul VI's indecisive, wavering papacy https://www.ncronlin[...] 2018-10-13
[33] 뉴스 Pope Paul VI prepared 'resignation letter' http://www.thetablet[...] 2018-05-16
[34] 웹사이트 Photograph of Pope Paul VI https://jfk.artifact[...] The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Artifact Collection
[35] 웹사이트 Paul VI during the coronation to Pontiff. Vaticano's City, 30 june... https://www.gettyima[...] 2012-09-15
[36] 뉴스 Pope Paul Donates His Jeweled Tiara To Poor of World https://www.nytimes.[...] 1964-11-14
[37] harvard
[38] 웹사이트 Motu Proprio Sanctitas Clarior https://web.archive.[...] 2013-03-02
[39] harvard
[40] 서적 Annuario Pontificio
[41]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Ecclesiae Sanctae https://www.vatican.[...] Holy See 1966-06-15
[42]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Ingravescentem aetatem https://www.vatican.[...] Holy See 1970-11-21
[43] 뉴스 Voting for Popes Is Barred to Cardinals Over 80 https://www.nytimes.[...] 1970-11-24
[44] 뉴스 Ottaviani Deplores Papal Action Barring Vote of Aged Cardinals https://www.nytimes.[...] 1970-11-27
[45] 뉴스 Crítica de dos Cardenales contra el Papa Paulo VI http://www.geocities[...] 1970-11-26
[46] 뉴스 John Paul's Frailty Sparks Debate on Papal Retirement https://www.wsj.com/[...] 2000-03-28
[47] 뉴스 Pope Paul VI dies https://lmtribune.co[...] 1978-08-07
[48] 문서 The decree is printed as the first document in the 1962 Roman Missal.
[49] 웹사이트 Louis J. Tofari, "A 'Particular' Curiosity of the 1962 Missale Romanum" https://www.romanita[...]
[50] 편지 To the Bishops on the occas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motu proprio 'Summorum Pontificum' https://www.vatican.[...] Vatican 2007-07-07
[51] 웹사이트 Summorum Pontificum https://www.vatican.[...]
[52]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issued "Motu proprio" by the Supreme Pontiff Francis "Traditionis custodes" on the use of the Roman Liturgy prior to the Reform of 1970, 16 July 2021 https://www.vatican.[...]
[53] 웹사이트 Pope Paul VI's Apostolic Pilgrimage to Uganda, 31st July – 2nd August 1969 http://www.totus2us.[...]
[54] 웹사이트 Uganda 1969: Paul VI the first Pope to visit Africa http://en.radiovatic[...]
[55] 웹사이트 ICONJewels – Artifacts https://www.iconjewe[...]
[56] 웹사이트 Pope Paul VI's Diamond Cross http://arc.stparchiv[...]
[57] 웹사이트 Pope Paul VI's Diamond Ring http://arc.stparchiv[...]
[58] 웹사이트 Diamond Jewelry Owned By Pope Paul VI On Sale For $1.9 Million https://www.forbes.c[...]
[59] 웹사이트 Speeches https://www.vatican.[...] The Holy See
[60] 웹사이트 The conflict in Vietnam widens http://www.upi.com/A[...] UPI
[61] 웹사이트 Msgr. Pasquale Macci foils assassination attempt on Pope Paul VI in Manila http://www.upi.com/N[...]
[62] harvard
[63] 서적 Eye on the Sparrow: The Remarkable Journey of Father Joseph Nisari, Pakistani Priest https://books.google[...] Hillcrest Publishing Group
[64] 문서 Ecclesiam suam, 58
[65] 문서 Mense maio, 1
[66] 웹사이트 CHRISTI MATRI https://www.vatican.[...]
[67] 문서 Franzen 426
[68] 웹사이트 1968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United Press International
[69] 웹사이트 Germain Grisez on "Humanae Vitae," Then and Now https://web.archive.[...] 2004-11-11
[70] 문서 Humanae vitae, 2–8
[71] 논문 Divini illius Magistri and Casti connubii
[72] 논문 Discorsi e radiomessaggi di Pio XII
[73] 논문 Mater et magistra
[74] 간행물 Herder Korrespondenz, Orbis Catholicus Herder Verlag
[75] 문서 Humanae vitae
[76] 문서 Humanae vitae
[77] 문서 Humanae vitae
[78] 문서 Herder Korrespondenz Orbis Catholicus
[79] 문서 Herder Korrespondenz Orbis Catholicus
[80] 잡지 Sic 1968-10
[81] 뉴스 National Catholic Reporter 1988-08-26
[82] 웹사이트 Pope Paul VI: 1963–1978 https://www.vatican.[...] Vatican 2006-03-02
[83] 서적 Church and Society, The McGinley Lectures, 1988–2007 Fordham University Press 2008
[84] 서적 (출처 필요)
[85] 서적 The Vatican Dorling Kindersley 2014
[86] 웹사이트 Common Declaration of Pope Paul VI and of the Pope of Alexandria Shenouda III leader of the Oriental Orthodox Church https://www.vatican.[...] 1973-05-10
[87]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88]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89]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0] 웹사이트 Responses to Some Questions Regarding Certain Aspects of the Doctrine on the Church https://www.vatican.[...]
[91]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2]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3]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4]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5]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6]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7]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8] 문서 (출처 필요, Schmidt 참조)
[99] 웹사이트 The Christian Personalism of Jacques Maritain https://www.ewtn.com[...] EWTN
[100] 웹사이트 Paul VI (1963-1978) https://cardinals.fi[...]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101] 웹사이트 Persona Humana – Declaration on Certain Questions Concerning Sexual Ethics https://www.vatican.[...]
[102] 뉴스 Christopher Hitchens on the death of Pope Paul VI http://www.newstates[...] 2013-02-28
[103] 잡지 Mea culpa? Ma fatemi il santo piacere 1976-04-04
[104] 뉴스 Paul VI Denies He Is Homosexual https://news.google.[...] 1976-04-05
[105] 서적 Nichitaroncalli: Controvita Di Un Papa / Nikitaroncalli: Counterlife of a Pope Edizioni Internazionale Di Letterature E Scienze (EILES)
[106] 서적 God's Bankers: A History of Money and Power at the Vatican Simon and Schuster 2015
[107] 서적 Oh Vatican! A Slightly Wicked View Of The Holy See Congdon & Weed 1984
[108] 서적 Nichita Roncalli – Controvita di un Papa Editizioni Internazionale di Letterature e Scienze 1994
[109] 뉴스 Dossier su un tentato ricatto a Paolo VI http://archiviostori[...] 2006-01-27
[110] 간행물 Pope and President, Paul VI and Lyndon B. Johnson: Christmas on the Tiber, Texas Style https://www.americam[...] 2015-09-25
[111] 웹사이트 Desert Sun 6 November 1967 —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2018-05-22
[112] 문서 Hebblethwaite 699
[113] 문서 Hebblethwaite 700–701
[114] 문서 Hebblethwaite 706
[115] 문서 Hebblethwaite 707
[116] 웹사이트 Pope Paul VI dies https://lmtribune.co[...] Lewiston Tribune 1978-08-07
[117] 웹사이트 World Leaders Mourn Pope Paul VI https://larouchepub.[...] 2023-09-11
[118] 웹사이트 August 7, 1978 – CBS Radio – The World Tonight – Gordon Skene Sound Collection https://pastdaily.co[...] 2023-11-30
[119] 웹사이트 BOE.es - BOE-A-1978-20497 Real Decreto 1854/1978, de 7 de agosto, por el que se declara luto nacional por el fallecimiento de Su Santidad el Papa Pablo VI https://www.boe.es/d[...] 2022-05-22
[1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121] 뉴스 World Reacts With Disbelief And Concern https://www.washingt[...] 1978-09-30
[122] 뉴스 East, West Laud Paul VI as Man of Peace https://www.washingt[...] 1978-08-08
[123] 간행물 Proclamation No. 1765-a, s. 1978 https://www.official[...] 1978-08-10
[124] 뉴스 Vatican. Workmen Prepare a Tomb for Pope Paul in Crypt Beneath St. Peter's Basilica https://www.nytimes.[...] 1978-08-09
[125] 뉴스 Pope Paul's Funeral to Be Held Today https://www.washingt[...] 1978-08-12
[126] 뉴스 Pope Paul VI Is Dead of a Heart Attack at 80; Guided the Church Through Era of Change https://web.archive.[...] 1978-08-07
[127] 간행물 Pius XII Stimmen der Zeit 1958-12
[128] 서적 Steps on my Pilgrim Journey Veritas 1998
[129] translator Catholic Press https://web.archive.[...] Microsoft
[130] 웹사이트 translator https://web.archive.[...] Microsoft
[131] 웹사이트 Alleged miracle puts Pope Paul VI one step closer to sainthood http://www.uscatholi[...]
[132] 뉴스 Pope Benedict Forgoes Waiting Period, begins John Paul II Beatification Process https://www.catholic[...] 2005-05-13
[133] 웹사이트 Pope Paul VI 'to be beatified this year' https://web.archive.[...] 2014-04-24
[134] 웹사이트 Paul VI set for beatification http://www.ansa.it/e[...] ANSA 2014-05-06
[135] 웹사이트 Paul VI made a miracle https://translate.go[...] Italia Oggi 2015-01-14
[136] 웹사이트 Saint Paul VI soon https://translate.go[...] RMF Online 2015-01-16
[137] 웹사이트 Violist healed by Paul VI? The Church is listening and evaluating https://web.archive.[...] Brescia Oggi 2015-08-13
[138] 웹사이트 Pablo VI en los altares de Bergoglio https://web.archive.[...] Vida Nueva 2017-01-13
[139] 웹사이트 Booklet of the Beatification of Paul VI https://web.archive.[...] Holy See 2014-10-18
[140] 웹사이트 Paolo VI Santo: una bella notizia http://www.lavocedel[...] La Voce del Popolo 2017-12-22
[141] 웹사이트 Alcuni incontri del Vescovo http://www.diocesidi[...] Diocesi di Verona 2017-03-00
[142] 뉴스 Primi ok al miracolo, passo Avanti per Paolo VI santo http://www.lastampa.[...] 2017-12-21
[143] 웹사이트 Pope Francis: Blessed Paul VI to Be Canonized This Year http://www.ncregiste[...] 2018-02-17
[144] 웹사이트 Vatican confirms that canonization of Paul VI set for October https://cruxnow.com/[...] CRUX 2018-03-06
[145] 웹사이트 Oscar Romero to be recognised as saint of Universal Church https://www.vaticann[...] 2018-05-18
[146] 웹사이트 Revealed: Post-World War II Secret Nazi, Vatican Army https://www.usnews.c[...] 2011-12-02
[147] 웹사이트 Pope Paul VI, Address to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ttp://www.shc.edu/t[...] SHC
[148] 논문
[149] 서적 Index of Leading catholic Indicators Oriens Publishing Company 2003
[150] 문서 Josef Schmitz van Vorst, 68
[151] 문서 Simmel, 80
[152] 문서 Simmel, 82
[153] 웹사이트 National Catholic Reporter 9 October 1968 — Catholic Research Resources Alliance https://thecatholicn[...]
[154] 문서 Simmel, 81
[155] 문서 教皇から枢機卿就任を勧められたものの、当時の教皇庁内の情勢を考慮して辞退した、という説もある。
[156]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講談社 1987-09-21
[157]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158] 뉴스 教皇パウロ6世の列福式、シノドス閉会と共に http://ja.radiovatic[...] バチカン放送局日本語版 2014-10-19
[159] 뉴스 福者教皇パウロ6世と、福者オスカル・ロメロ大司教、列聖近づく http://ja.radiovatic[...]
[160] 뉴스 教皇パウロ6世とオスカル・ロメロ大司教、今年10月、列聖へ http://ja.radiovatic[...]
[161] 뉴스 福者ヌンツィオ・スルプリツィオ、今年10月、列聖へ - バチカン・ニュース https://www.vaticann[...] 2018-07-25
[162] 뉴스 列聖式:新聖人たちの人となり - バチカン・ニュース https://www.vaticann[...] 2018-10-14
[163] 뉴스 バチカンで列聖式、パウロ6世と中米で暗殺された大司教が聖人に https://www.afpbb.co[...] 2018-10-14
[164] 뉴스 教皇パウロ6世、オスカル・ロメロ大司教ら、7人の列聖式、バチカンで - バチカン・ニュース https://www.vaticann[...] 2018-10-14
[165] 웹사이트 Witness to the impostor pope: an Immaculate Heart of Mary nun sees Pope Paul VI and impostor pope within minutes of each other http://www.tldm.org/[...]
[166] 웹사이트 Impostor Pope - Directive #50 http://imposterpope.[...]
[167] 웹인용 Catholic Press http://www.microsoft[...] Microsofttranslator.com
[168] 웹인용 press.catholica.va/news_services/bulletin/news/30226.php?index=30226&lang=en - Translator http://www.microsoft[...] Microsofttranslator.com
[169] 웹인용 Pope Paul VI to be beatified October 19, 2014 http://en.radiovatic[...] Vatican Radio 2014-05-10
[170] 웹인용 Booklet of the Beatification of Paul VI http://www.vatican.v[...] Holy See 2014-10-18
[171] 웹인용 Conclaves: Surprises abound in the Sistine Chapel http://www.madisonca[...] 2005-04-21
[172] Apostolic letter 《거룩한 교회》(Ecclesiae Sanctae) http://www.cbck.or.k[...] 바티칸 1966-06-15
[173] 웹인용 Speeches http://www.vatican.v[...] 성좌
[174] 웹인용 In Review http://www.upi.com/A[...] UPI
[175] 문서 1960년 12월 2일 교황 요한 23세와 캔터베리 대주교 조프리 피셔 간에 만남이 있었긴 하였지만, 비공식적인 사적 만남이었다.
[176] 웹인용 Paul VI : on the path to sainthood https://web.archive.[...] 2012-12-20
[177] 웹인용 Alleged miracle puts Pope Paul VI one step closer to sainthood http://www.uscatholi[...] 2014-01-05
[178] 웹사이트 Pope Benedict Forgoes Waiting Period, begins John Paul II Beatification Process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Agency 2011-05-01
[179] 웹인용 Pope Paul VI 'to be beatified this year' https://web.archive.[...] 2014-04-24
[180] 웹인용 Paul VI set for beatification http://www.ansa.it/e[...] ANSA 2014-05-06
[181] 웹인용 바오로 6세 교황 19일 시복 http://web.pbc.co.kr[...] 평화신문 2014-10-19
[182] 웹인용 http://www.vatican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